헬스/상식

한국 원전은 어느 나라 것보다 안전하다.

작성자
신영삼
작성일
2020-04-09 16:07
조회
57
韓원전 방식 후쿠시마와 달라 폭발사고 가능성 전혀 없다”

韓원전 방식 후쿠시마와 달라


폭발사고 가능성 전혀 없다”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구글
2020040301033403017001_b.jpg
▲  한국형 원전 개발 및 상업화 책임자였던 이병령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이 문화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원자력 발전의 안전성과 경제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 위원은 “탈원전 정책은 하루빨리 취소돼야 한다”고 강한 어조로 비판했다.    <한국형 원전 개발 책임자 이병령 원안위 위원>
김호웅 기자


 


한국원전 모두 가압수형으로 폭발안돼… 美TMI사고때도 인명피해 ‘제로’
“UAE원전 4基 수출” 10번만 더하면 세금도 덜 내고 근사하게 살 텐데…
文정부 공들이는 남북경협도 원전 지으면 값싼 전력 공급할 수 있을 것


“대체 원자력 발전을 왜 안 해야 하는지 되묻고 싶다. 값이 싸다. 미세먼지도 안 나오고 자연을 파괴하지 않는다. 미래 에너지로서의 가치가 대단하다. 가장 중요한 게 안전 여부인데 우리나라 원전은 일본 후쿠시마(福島) 원전과 다른 방식이어서, 원전사고의 원인인 산소 발생으로 인한 수소폭발 가능성이 없는 노형(爐型·종류)이라 사람이나 환경에 해가 거의 없다. 한국이 2009년 아랍에미리트(UAE)에 우리 기술로 독자 개발한 차세대 한국형 원전(APR 1400) 4기를 팔았는데 이렇게 한 10번만 더 하면 우리 국민 세금 덜 내고 근사하게 살 수 있다.”


지난 1일 서울 중구 충정로 문화일보 본사에서 만난 이병령(73)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원자핵공학 박사)은 원전의 안전성과 경제성을 강조하며 이번 정부가 밀어붙이고 있는 탈(脫)원전 정책에 대해 “국가 전반에 중차대한 영향을 미치는 정책 변화를 충분한 설명 없이 추진하고 있다”며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한국형 원전 개발 및 상업화 책임자였던 이 위원은 “사람들이 탈원전을 적극적으로 반대하지 않는 이유는 ‘만일 사고가 나면 큰일 아니냐’는 ‘찝찝한’ 마음 때문인데 우리 원전은 인명 피해나 환경 파괴가 없도록 설계돼 있다”며 지난해 12월 저서 ‘한국형 원전 후쿠시마는 없다’를 펴낸 이유도 이를 설명하기 위해서라고 밝혔다.


―저서 ‘한국형 원전 후쿠시마는 없다’를 출간했는데, 청와대·정부·여당, 탈원전 찬성 시민단체들은 어떤 반응을 보였나.


“문재인 대통령은 기본적으로 전문가를 싫어한다고 들었다. 원자력 전문가는 만났다는 사람이 없다. 반핵하는 사람들, 다 좋다. 그런데 내가 볼 때는 원자력 발전에 대해 아는 게 없는 사람들이다. 모르면서 떠든다. 그래서 내가 내 책 서두에 그들더러 ‘반박하라’고 썼다. 참고할 만한 자료 소개도 해줬다. 그런데 놀라운 일이다. 지금 책이 나온 지가 4개월이나 됐는데 전화 한 통이 없다. 그렇게 통렬하게 반대하더니, 반박하지 못하니 동의한다는 거다. 야당에서도 책을 읽고 공감을 많이 해 기대가 컸다. 탈원전 정책이 단순히 에너지를 바꾸는 게 아니라 경제·고용·안보·환경 등 나라 전체에 영향을 주는 아주 잘못된 정책이라 당연히 신랄하게 비판할 것으로 생각했는데 예상밖에 제대로 된 공격이 이뤄지고 있지 않은 점은 아쉽다.”


―우리나라 원전은 2011년 사고가 난 일본 후쿠시마 원전과 어떻게 다른가.


“한국 원전은 모두 가압수형(加壓水型·Pressurized Water Reactor)이다. 반면, 옛 소련 체르노빌이나 일본 후쿠시마 원전은 비등수형(沸騰水型·Boiling Water Reactor)이다. 핵분열해 엄청난 열을 뿜고 있는 핵연료에 물을 보내고, 이때 데워진 물에서 발생하는 증기로 발전기를 돌리는 게 원전 원리다. 비등수형은 핵분열에서 나온 방사능 범벅인 물로 직접 수증기를 만들어 돌리는 데 반해, 가압수형은 이 물로 수증기를 바로 만들지 않고 열교환기를 거쳐 다른 깨끗한 물을 데워 수증기를 만들어 돌린다. 비등수형이 단계가 적은 만큼 건설비도 저렴하고 효율도 높다. 한국형 원전 개발 당시 비등수형으로 하자는 주장도 있었다. 하지만 조금이라도 안전하게 가자고 해서 가압수형으로 했다. 우리 원전이 비등수형이라면 내가 지금 이렇게 원전 하자고 주장하지도 않는다.”


―지진으로는 원전 사고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했는데.


“원전을 지나다 보면 돔 모양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볼 수 있다. ‘방사능의 마지막 방패막이’로 불리는 격납용기다. 지구가 뒤집힐 만한 수준인 규모 13~14에도 망가지지 않는 탄탄한 구조물이다. 우리가 측정 가능한 게 규모 10이다. 비행기나 미사일이 떨어져도 원전은 괜찮다는 것이다. 방사능이 무지막지하게 나와도 지진에도 끄떡 없는 격납용기 안에만 있다면 사람이나 자연 환경에 영향이 없다는 뜻이다. 원전이 문제가 되는 게 딱 한 가지 있는데 그게 바로 (격납용기 폭발로 이어질 수 있는) 수소폭발이다.”


―한국 원전은 가압수형이어서 수소폭발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인가.


“그렇다. 원자로 설계 회사들이 감으로만 알고 있던 것인데 1979년 가압수형이던 미국 스리마일아일랜드(TMI) 원전 사고 때 우연히 증명이 됐다. 당시 핵연료가 녹아내려 이를 감싸고 있던 피복관에서 수소가 나왔지만 폭발하지 않은 것이다. (이 위원은 책에서 피복관 원료인 ‘지르칼로이’라는 특수 합금은 습한 상태에서 온도가 올라가면 수소를 생성하는 성질을 지녔다고 설명했다.) 사고 4년 뒤인 1983년 미국에서 발표된 TMI 원전사고 원인 분석 논문에 따르면 (방사능에 녹아 있는 물은 일정 조건 하에서 폭발성이 강한 산소가 나오는 경향이 있는데) 가압수형의 경우 수소의 0.7%에 불과한 산소만 나와 수소폭발이 일어날 수 없었고, 수소와 결합해 물이 돼 버린 것이었다. 가압수형 원전은 전 세계에 300기 이상 운영 중인데 사람이 다치거나 환경을 파괴한 적이 단 한 번도 없다.”


―그런데 문 대통령과 이번 정부는 왜 탈원전 정책을 계속 추진한다고 생각하나.


“그 이유를 알면 토론을 할 수 있을 텐데 대통령이 말씀을 안 하시니까…. 문 대통령은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1368명이 사망했고, 우리나라가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점 두 가지를 들어 3년 전 탈원전을 선언했다. 하지만 앞에서 설명했듯이 지진은 원전사고의 원인이 아니다. 핵연료에 물이 들어가고 방사능이 퍼져야 원전 사고라고 볼 수 있는데, 건물이 무너진다고 원전 사고는 아니잖나. 또 하나, 후쿠시마에서 원전 때문에 1368명이 사망한 것도 사실이 아니다. 일본 정부가 항의한 것으로 안다. 항간에는 영화 ‘판도라’를 보고 탈원전 정책을 추진한다는 얘기도 돈다. 후진국 대통령이라도 할 수 없을 법한 처사다. 설마 우리나라 대통령이 영화 한 편을 보고 정책을 추진했겠나.”


―책에서 김대중·노무현 전 대통령과도 원전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고 두 대통령도 원전 필요성에 대해 공감했다.


“김·노 전 대통령 모두 여러 번 만났다. 오래전이라 원전과 관련해 그 양반들이 구체적으로 뭐라고 말했었는지 기억은 못 한다. 하지만 두 대통령 재임 시 각각 원전을 4기씩 지은 것을 보면 알 수 있지 않나.”


―정부와 국책은행들이 지난달 27일 두산중공업에 1조 원을 긴급 수혈하기로 했다. 정부는 여전히 탈원전과 두산중공업의 유동성 위기는 관계가 없다는 입장이다.


“병 주고 약 주는 것도 아닌, 병 주고 진통제 준 격이다. 탈원전 정책이 두산중공업 위기에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는 보는 사람에 따라 다를 수 있고, 조사도 해봐야 할 거다. 하지만 영향을 준 건 틀림 없다고 봐야 한다.”


―두산중공업 노조 지회장이 지난달 30일 주주총회장에서 “노조도 신한울 3·4호기 재개를 위해 노력하는 상황에서 (회사도) 정부에 강력히 요구해야 하는데 꼭 남의 회사 다니는 사람 같이 말한다”고 꼬집었다. 원전에 대해 호의적인 것으로 평가받는 정세균 국무총리 임명이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거란 관측도 나왔는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때문에 경황이 없어 그렇지 정 총리의 성향을 보면 대단히 경제 중심적이고 합리적인 분이라 조만간 조치를 취하지 않을까 내심 기대하고 있다. 다만, 탈원전을 밀어붙이는 세력으로부터 집중 공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조금 시간을 두고 지켜봐야 한다고 생각한다.”


―최근 탈원전 정책에 찬성하는 시민단체 대표가 인터뷰를 통해 “원전은 사양 산업이 된 지 오래다. 한때 우리가 최고의 기술을 갖고 있던 봉제산업을 지금도 해야 한다고 말하는 것과 같다”는 취지로 이야기했던데.


“(5초가량 말 없이 한숨을 쉰 후) 무식하기 짝이 없다.”


―위원으로도 활동하고 계신 원자력안전위원회가 논란이 됐던 월성 1호기를 결국 영구정지했다. 그때 계속 반대했는데, 어떻게 된 건가.


“미국은 지금 원전을 80년 동안 쓰는 분위기다. 우리는 40년 동안 쓰도록 돼 있는 것도 다 안 쓰고 버린다는 거다. 그러면 안 되잖나. 멀쩡한 원전을 버리는 것도 말이 안 되고, 국회가 표결을 통해 감사원에 감사까지 청구해 진행 중인데 원안위가 설거지를 해준 셈이다. (국회는 지난해 9월 한국수력원자력의 월성 1호기 조기 폐쇄 결정에 문제가 있다며 감사원의 감사 요구안을 의결했다.) 내가 아무리 반대해도 표결을 하니까 아무 힘이 없더라.”


―정부는 탈원전 정책과 원전 수출 정책을 병행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상식적으로 초등학교 애들 불러놓고 물어도 ‘제대로 안 될 것’이라고 답할 거다.”


―원전과 관련해 구체적으로 어떤 전략을 취해야 할까.


“절호의 기회다. 경제적으로 남는 장사고 국제적으로 나라 위상도 올라갈 수 있다. 이번 정부가 강조하는 게 남북경제협력이다. 관계 정상화 시 전기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북한에 원전을 지어 값싸고 질 좋은 전력을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 내가 예전부터 우리가 짓는 원전이 미국 원전의 3분의 1, 프랑스나 일본 원전의 반값이란 얘길 하면 다들 ‘풍이 세다’고 했었다. 그런데 실제 2018년 사우디아라비아 원전 수주 당시 견적서가 공개되면서 현실이라는 점이 드러났다. 특히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CR)에서 한국형 원전 설계가 안전하다고 인증해줬다. NCR가 인증한 건 미국 내 원전 말고는 없다. 우리가 일본, 프랑스보다 국력이 세서 압력을 가해서 받아냈을 리도 없지 않나.”


―원전 산업의 미래는 어떤가.




“최근 영국의 한 대학이 방사성 폐기물을 갖고 5000년을 쓸 수 있는 연구를 끝내고 상업화한다고 한다. ‘꿈의 에너지’로 불리는 인공태양(땅 위에서 태양처럼 막대한 에너지를 내는 핵융합 반응을 일으켜 발전하는 초전도 핵융합장치)의 경우, 최근 우리 연구진이 섭씨 1억 도의 초고온 플라스마(고체·액체·기체를 넘어선 제4의 상태)를 세계 최장 기록인 8초간 유지하는 데 성공했다고 한다. 다른 나라에 비해 우리나라 참여 속도가 늦었는데도 이렇게 기술이 앞서간다. 우리나라 과학자들은 정말 뛰어나다. 이런 상황에서 원전을 천덕꾸러기로 만들면 미래가 없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