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증

가수 남진의 간증(7)

작성자
신영삼
작성일
2019-02-22 11:04
조회
102




남진 (7)   “노래 제목이 퇴폐적”… 새 음반 금지 당해 낙향


너무 억울해 휴학하고 목포로…


좌절에 빠져 하루하루 보내며 노래도 안 듣고 그만둘까 생각










[역경의 열매] 남진 (7) “노래 제목이 퇴폐적”… 새 음반 금지 당해 낙향 기사의 사진
1966년 신인 가수 시절 때의 남진 장로(오른쪽)의 모습. 왼쪽부터 가수 이상열 문주란씨.






1966년 작곡가 김영광은 무명이었다. 발매한 레코드판도 한두 개밖에 없었다. 오아시스레코드에서 일하려고 서울로 올라와 근처 여관을 잡아 놓고 있었다. 그가 날 여관으로 불러 가보니 기타가 하나 있었다. 기타를 연주하며 나에게 노래를 따라 해 보라고 했다. 자신이 만든 12곡 중 3곡을 나에게 맡긴다고 했다. 레코드판에 12곡이 들어가던 때였다.

그해 오아시스레코드사에서 발매한 ‘울려고 내가 왔나/ 섬아가씨’ 레코드판은 신인가수 격이었던 성태미 송춘희 성재희와 함께 3곡씩을 맡아 만든 앨범이었다. 무명이었던 내가 나름대로 유명세가 있던 이들과 함께 앨범 제작에 참여한 것이다. 내가 불렀던 곡은 ‘울려고 내가 왔나’와 ‘토요일 오후’ ‘연애 0번지’다. 연애 0번지의 경우 룸바 스타일의 곡이었다. ‘밤바 밤바 바밤바’ 리듬이 팝송과 같았다.

‘울려고 내가 왔나’는 트로트 스타일이다. 나는 당시 트로트를 불러본 적이 없어 어쩔 수 없이 한 달을 연습했다. 참 하기가 싫었다. 이 노래를 빼고 2곡만 부르면 안 되냐고 물을 정도였다. 김영광도 가수 지망생이나 다름없던 내가 3곡이나 부른다는 게 부담스러울 수도 있겠다며 직접 부르겠다고 했다.

몇 달이 지나 서울 중구 장충동의 녹음실로 가수들이 모였다. 김영광이 ‘울려고 내가 왔나’를 부르기 위해 마지막 차례로 녹음실에 들어갔다. 하지만 아무리 해도 음이 높게 올라가지 않았다. 중성적인 목소리를 내는 소위 ‘옐로우 보이스’였다. 몇 번을 해도 안 되니 녹음실에 눈치가 보였다. 녹음실 예약하기가 쉽지 않던 때였다.

사람들은 “빨리빨리 녹음하자”며 그 곡을 내가 부르도록 떠밀었다. 이전에 이 곡으로 연습한 적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때는 왜 그랬을까. 노래를 부르는데 돌아가신 아버님이 생각났다. 부모님과의 추억이 떠올랐다. 감정이 북받쳐왔다. 감정을 담은 그 한 번의 노래로 녹음을 마칠 수 있었다.

새 레코드판이 나오자 해야 할 일은 방송국에 다니는 것이었다. 당시 라디오방송으로 첫째는 동아일보에서 운영하던 라디오방송국인 동아방송이었고 둘째는 서울 종로구 한국기독교회관에 있던 CBS 기독교방송이었다. 방송국 PD들을 찾아다니며 열심히 곡을 소개하니 반응이 좋았다. 아침에 눈만 뜨면 방송국에 다니는 게 일이었다.

하루는 동아방송 음악 담당 PD가 ‘너 일루 와봐’ 해서 찾아갔다. 그 PD는 대뜸 “너 금지 당했어”라고 통보했다. “왜 금지입니까”라고 물으니 연애 0번지라는 곡의 제목이 퇴폐적이라고 했다. ‘무한’ 또는 ‘아픔’ 같은 심오한 뜻이 담겼든, 신체 특정 부위를 형상화했든 무조건 금지라고 했다. 어렸던 나는 큰 충격을 받았다. ‘0’이라는 숫자 하나 때문에 금지된 것이다. 사실 ‘0’에는 별 의미가 없었다. 맥이 빠져서일까. 그날 포장마차로 달려가 제대로 마시지도 못하던 소주를 진탕 마셨다.

고향인 목포에 3개월 정도 내려가 있었다. 그때가 가을이었다. 학교는 휴학했다. 사회에 대해 무엇을 알았겠는가. 처음으로 사회생활의 아픔을 느꼈다. ‘숫자 0이란 무엇인가’ ‘이 곡이 왜 금지가 됐는가’ 그런 생각을 수도 없이 했다. 1번지 2번지는 재미가 없으니 0번지라 한 것인데 억울하기만 했다. ‘이런 게 사회구나’ 느끼며 좌절에 빠져 하루하루를 보냈다. 노래를 그만둘까 생각도 했다. 어떤 노래든 아예 듣지 않았다.

정리=김동우 기자 love@kmib.co.kr




[출처] - 국민일보